[22.07.22] Daily 회고록 (AWS 심화 교육 수료, 웹소켓 STOMP)
카테고리 없음

[22.07.22] Daily 회고록 (AWS 심화 교육 수료, 웹소켓 STOMP)

[프로젝트]

[소마] 웹소켓 방 생성 성공

- STOMP란 Simple Text Oriented Message Protocol의 준말로 websocket 위에서 동작하는 문자 기반 메세징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전송할 메시지의 유형, 형식, 내용들을 정의하는 매커니즘이다. HTTP와 다르지만 80, 443 포트 위에서 동작하고 메시지 브로커를 이용하여 Publish/Subscribe를 한다. 개발이 어느정도 진행된 뒤 WebSocket에 관한 글을 작성 예정이다.

http://localhost~에서만 테스트하다보니 습관적으로 http를 달았는데 그것때문에 시간을 잡아먹었다.. 웹소켓은 ws://localhost이다. 웹소켓의 개념을 2달전 쯤 알게됐는데 자세히 알아보게된 계기가 되었다.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지금 적용한 방법은 내부 브로커를 적용한 것이라 내일쯤 외부 브로커를 이용(아마 redis)해서 제작해볼 예정이다.

https://dev-gorany.tistory.com/235 

 

[Spring Boot] WebSocket과 채팅 (3) - STOMP

[Spring Boot] WebSocket과 채팅 (2) - SockJS [Spring Boot] WebSocket과 채팅 (1) 일전에 WebSocket(웹소켓)과 SockJS를 사용해 Spring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간단한 하나의 채팅방을 구현해본 적이 있다. [Sprin..

dev-gorany.tistory.com

https://brunch.co.kr/@springboot/695

 

Spring Websocket & STOMP

오랫만에 작성하는 기술블로그 포스팅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프링 부트 기반의 웹소켓 및 STOMP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이 글을 읽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HTTP 지식이 있어야 하며, 스프링 프레임

brunch.co.kr

https://brunch.co.kr/@springboot/374

 

Spring Boot Redis Pub/Sub

스프링부트 환경에서 레디스 Pub/Sub 구현하기 | Redis는  Key-Value 기반의 캐시 저장소이지만, 캐시 기능 외에도 다양하게 사용되는 오픈소스이다. 이 글에서는 Redis에서 제공하는 Pub/Sub 기능에 대

brunch.co.kr

웹소켓 기반 전송 성공

[개인공부]

Architecting on AWS 심화교육 수료

- AWS에서 AWS 강사가 진행한 3일간 쉬는 시간 포함 총 24시간동안 진행된 AWS 심화교육을 수료했다. 이론이 대부분 이른 시간에 진행되었는데 아침 7시에 자는 나한테는 너무 힘든 시간이였다.. 2학기도 아침 수업을 듣고 점심때부터 공부를 하려고했는데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깨닫고 11시 이후로 모든 수업을 미뤄서 우선수강신청했다.. 2~3 모듈이 끝나면 AWS에서 발급해준 계정으로 실습을 진행했다. 프로세르를 따라가면서 AWS 기능을 테스트해볼 수 있었고, 이 과정을 수료하면서 AWS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그냥 볼 수 있을 지도?) 아무튼 그래서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따보려고 한다. 참고로 응시료는 $150이다..^^..

 

실습.. 인스턴스 생성을 모르고 실행했다가 껐다하니 0점이 자주 나왔다